안녕하세요...저는 현직 네트워크 엔지니어 입니다.
현재 전산관련으로 도움을 드리고자 유튜브와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우진아빠 검색)
참고로 저는 챗GTP 같은 답변은 하지 않습니다.
위 글을 잘 읽어봤습니다. 대충 네트워크 구성은 이러합니다.
제가 인터넷을 찾아보니 TP link 공유기는 내부 IP 주소가 192.168.0.1/24 나 192.168.1.1.24 둘중에 하나를 사용하는데 ....저는 편의상 192.168.1.1/24로 가정해보겠습니다.
보통 공유기는 192.168.1.1/24의 뜻은 자동으로 IP를 만들어서 DHCP (자동IP)로 하단부 client 들에게 뿌린다는 의미입니다. 즉, DHCP로 뿌리는 범위는 기본게이트웨이 192.168.1.1을 제외한 192.168.1.2 ~ 192.168.1.254까지 총 253개의 자동 IP가 생성된다는 의미입니다.
보통 클라이언트들의 환경설정을 보면 이러합니다. 제어판 - 네트워크 - tcp/ip 설정에 가시면...
혹시나 해서 하는 이야기인데... 선로 구성을 한번더 확인해봐야 합니다.
간혹 외부회선을 내부회선에 연결하시게 되면 공유기가 아니라 HUB 모드로 동작하게 되서 1대만 인터넷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어판에서 수동으로 IP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는 위의 경우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답변채택은 저에게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우진아빠 드림 -